영화 <패스트 라이브즈> - 놓아버린 인연에 관한 이야기
이 영화는 줄거리는 매우 간단하다.
열두 살 어린 시절 서로 좋아했던 나영과 해성. 하지만 나영의 가족은 캐나다로 이민을 가서 둘은 그렇게 헤어지고 만다. 12년이 흐른 어느 날, 나영은 해성이 자신을 찾고 있다는 소식을 SNS를 통해서 알게 된다. 낮과 밤이 다른 시간대에 살고 있는 두 사람은 영상 통화로 서로의 마음을 나눈다. 나영은 해성에게 뉴욕에 한 번 오라 하고, 해성은 나영에게 서울에 한 번 오라고 하지만 두 사람에겐 각자 이루고 싶은 꿈이 있었기에 그것이 쉽지 않다. 그렇게 아쉬운 마음을 안고 더 이상 통화도 하지 않게 된 두 사람. 다시 12년이 흐르고 나영은 이미 유부녀가 되어 있는데, 뜬금없이 해성이 뉴욕에 오겠다고 한다. 그렇게 24년 만에 두 사람은 다시 만나게 되는데...
영화를 보는 내내 가슴 한편이 아렸다. 개인적으로 비슷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십몇 년 전, 한국과 영국 사이에 롱디(Long Distance Relationship, 장거리 연애)를 했었다. 둘 다 생업이 있으니 8시간의 시차 때문에 서로 영상통화 시간을 맞추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서로 평면의 화면을 통해서만 대화를 나눌 수 있을 뿐, 함께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 가장 안타까운 것은 서로 만질 수 없다는 사실.
이 영화에도 그런 안타까운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처음으로 해성과 영상 통화를 할 때 나영은 집에서 입고 뒹굴던 것 같은 티셔츠를 입고 있다. 하지만 둘만의 통화 횟수가 늘어나면서 점점 나영의 옷은 노출이 많아지고 화장도 조금씩 진해진다. 대사가 전혀 없어도 그녀가 이 시간을 얼마나 설레는 마음으로 준비하는지, 둘 사이에 마음의 색깔과 농도가 어떻게 진해져 가는지 오롯이 전달된다.
하지만 거의 모든 청춘들이 그렇듯, 두 사람에게도 연애보다 더 큰, 이뤄야 할 각자의 꿈이 있다. 물론 서로 같은 하늘 아래 산다면 각자의 꿈 때문에 헤어질 일은 없다. 연애는 연애대로, 자기 일은 일대로 하면 되니까. 하지만 장거리 연애의 한계가 바로 이런 것이다. 몸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한 현실이다. 마음이 아무리 서로에게 찰싹 달라붙어 있더라도 먼 공간과 시간이 이 붙은 마음을 떼어놓게 된다. 그때 바로 옆에 누군가 있다면 새로 눈에 들어올 수밖에 없다(아, 또 추억 돋네 ㅎㅎ).
그렇게 서로의 선택에 의해 각자의 길을 걸어가고 삶을 만들어가고 그러다 어느 날 문득, 그래 그런 사람이 내 인생에 있었지, 그 사람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궁금해지는 때가 있다. 그 사람도 나를 궁금해 했을까, 보고 싶어 했을까, 다시 만난다면 우린 어떻게 될까. 그런 마음을 안고 두 사람은 24년 만에 재회한다. 하지만 달라질 것은 없다. 그녀의 곁에는 이미 남편이 있으니까.
겉으로 감정을 표현하진 않지만, 아니 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두 사람 사이에 은근한 긴장을 불어넣는다. 하지만 두 사람은 안다. 이미 생의 한 시절 서로 나누었던 시간과 마음은 현재로 끌어올 수 없다는 것을. 둘 사이에 인연은 두고 온 과거에 놓여 있다는 것을.
두 사람이 앉아서 대화를 나누는 모습 뒤로 회전목마가 끊임없이 돌아간다. 이 장면을 통해 감독은 두 사람의 부질없는 ‘인연’에 대해 말하는 것 같다. 시작과 끝이 분명하지 않은 채 계속 이어지는 윤회하는 인생 속의 인연 같은.
개인적으로 궁금했던 미장센은, 두 사람이 길을 걸을 때 배경을 차지하고 있는 엑스트라들의 배치다.. 거의 대부분 두 명씩 짝을 지어 있다. 그것이 이성간이든, 동성간이든. 이 또한 ‘둘 사이의 인연’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적인 배치인 걸까?? 아니라면 매우 부자연스러운 배치로 보인다.
한편 이 영화는 단순히 이루지 못한 첫사랑의 인연만을 그리고 있지 않다. 여주인공이 품었던 꿈의 크기가 현실에서 어떻게 줄어들었는지, 그리고 그녀가 그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어린 시절 부모와 함께 이민을 떠나며 나영은 말한다. 한국인은 노벨문학상을 받을 수 없지만 외국에서 글을 쓰면 나중에 노벨문학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고(이 영화가 나온 이후에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때 이 영화의 감독은 기뻤을까, 놀랐을까, 재미있었을까. ㅎㅎ)
하지만 미국에서 극작 공부를 하며 그녀의 꿈은 퓰리처상으로 줄어들고 다시 토니상으로 줄어든다. 그녀가 몸을 담고 살아가는 남루한 현실이 그녀의 꿈의 크기를 줄어들게 했을 것이다. 그녀와 남편 아서가 살고 있는 뉴욕의 몹시 좁은 아파트가 그것을 대변하고 있다. 감독은 결코 이들의 아파트 전체 샷을 보여주지 않는다. 늘 비좁은 한쪽 구석만 보여준다.
나영은 어딘지 조금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남편 아서에게 말한다. 내가 있어야 할 곳(현실)은 바로 여기, 비좁은 아파트 당신 곁이라고. 결국 우리는 자신의 선택으로 무엇을 붙잡거나 놓아버리면서 인생을 구성해 간다.. 그것을 후회한다면 잘못 산 것이라고 인정하는 셈이다. 그러니 우리는 흘러간 인연을 잘 놓아줘야 한다.
그래서 나영은 해성에게 이렇게 말한다.
“네가 기억하는 나영이는 존재하지 않아. 그 아이가 지금 네 옆에 앉아 있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없는 건 아냐. 20년 전에 난 그 아이를 너와 함께 두고 왔어.”
정말 기가 막힌 대사다!
한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공항으로 가는 택시를 기다리며 두 사람이 마지막으로 마주 보고 서있는 장면은 매우 쓸쓸하고 아린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이제 언제 다시 만날 수 있을까. 만날 수는 있을까. 아니, 다시 만난다 해도 우리 사이에 무엇이 달라질 것인가. 그런 감정을 담아 해성이 말한다.
“이것도 전생이라면 우리의 다음 생에서는 벌써 서로에게 다른 인연인 건 아닐까? 그때 우린 누굴까?”
그 말을 끝으로 택시에 오른 해성을 보내고, 내내 담담하게 그를 바라봤던 나영은 끝내 눈물을 터뜨리고 만다. 그 마음이 너무 이해돼서 결국 나도 함께 울고 말았다.
'The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승윤 전국투어 역성 광주 콘서트 (35) | 2024.11.30 |
---|---|
영화 <한국이 싫어서> (4) | 2024.11.30 |
이승윤의 노래 <인투로> (32) | 2024.11.27 |
일본 영화 <괴물> 리뷰 (2) | 2024.11.26 |
영화 <미나리> (2) | 2024.11.25 |